신산경표 6기맥/금남기맥

대동금남정맥 산행 계획표(6구간)

정도령1 2011. 11. 21. 09:52
금강정맥(금강기맥)은 ?|일반(산행)공지사항
보만식계 | 조회 0 |추천 0 |2013.03.19. 08:58 http://cafe.daum.net/djbmsg/6zI8/476 

 

금강정맥(금강기맥)?

금강정맥이란 백두대간이 덕유산을 지나 백운산에 내려서기 전에 영취산에서 장안산.신무산.팔공산.성수산.마이산을 거쳐 진안과 전주사이의

모래재고개 위 조약봉(주줄산또는주화산)에서 두줄기로 갈라진다. 한줄기는 남서쪽 만덕산으로해서 내장산.추월산.무등산.제암산,존제산.조계산.

백운산등 전라남북도를 휘돌아서 섬진강하구의 망덕산까지 이어지는 호남정맥이고, 또 한줄기는 북진하여 연석산.운장산. 장군봉을 지나서

싸리재와 봉수대사이의 싸리재분기봉에서 다시 두갈래로 갈라진다. 한줄기는 북진하여 인대산.대둔산.계룡산을 지나서 부여 부소산에서 맥을 다하는

산경표의 금남정맥이고,또한줄기는 서진하여 왕사봉을 거쳐 칠백이고지.시루봉.장재봉.작봉산.천호산.미륵산.함라산.망해산.고봉산을 지나 장계산에서

서해바다로 잠긴다. 이산줄기를 보통은 금남기맥 혹은 원 금남정맥이라고 부르는데 신산경표는 조약봉분기봉에서 군산의 장계산까지 가는 산줄기를 

금강정맥이라고 부르고 싸리재 분기봉에서 부여의 부소산까지를 금남정맥이라고  부른다. 거리는 조약봉에서 부소산 조룡대까지나 군산의 장계산까지나

신기하게도 같은 도상거리로 131.4km이다. 그렇게 이름진 이유는 정맥은 강을 구획하는 경계가 되고 맥이 바다에 닿아야하는데 산경표의 금남정맥은

이 모두를 충족하지 못하니 온전히 금강의 남쪽과 만경강의  북쪽 울타리를 이루고 이줄기를 금강정맥이라고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산줄기는 조약봉에서 시루봉까지 대략 40km 거리는 산세도 중후하고 교통편도 용이치가 않다. 운주면 말골재(17번국도)를 지나면 적당한 거리로

차도가 지나서 구간을 끊기가 쉬워지고 미륵산을 넘어가면 산은 없어지고 너른 들판이 나와서 과연 산줄기가 있을까 싶지만 표고 2-30m되는 산줄기는

엄연히 이어지고 있다. 장장 6-7km되는 이 들판의 정맥 마루금 위로 물이 흐르고 있다는 사실은  상상도 못한 일이다.

정맥 산줄기 꼭대기위로 작은 도랑도 아니고 깊이가 2-3m 폭이 4-5m되는 수로가 그것도 수km나 가다니!!이유는 금강의 물줄기를 끌어올려서 김제

만경들판을 적시는 수로다. 이미 일제시대에 만든것이다. 들판을 건너 함라면에서 다시 산으로 올라서 얕은 구릉지를 따라서 군산의 대야면에 이르면

이번엔 다시 만자교라는 다리를 건너고 너른 대야뜰을 건너고 작은산 몇개를 넘으면 다시 칠다리를 건너는데 만자교나 칠다리나 모두 이 일대를 농지로

만들면서 생긴 인위적인 물길이 아닌가 생각한다금강정맥이 지나는 산은 조약봉분기봉.연석산.운장산.장군봉.싸리재분기봉.왕사봉.칠백이고지.

시루봉.남당산.까치봉.옥녀봉.천호산.미륵산.망해산.대명산.청암산.장계산등이다.

 

 

 

<대동금남정맥>

 구 간

                       산  행  구  간 과   거  리

 거  리

  1

싸리재-금만봉-왕사봉-645-702-604-선녀봉-용계재(740도로)

               0         1.7    1.7     1   2.7    1.4        2.2

불명산-시루봉-장선리재-미륵산-말골재-수재

   0.6       1.2       0.7         1.3        1        2.3

17.8

 

  2

수재-남당산-밤아니재-작봉산-우항소류지-까치봉-말목재-옥녀봉-

  0      1.3         1.3         1.6          1.5          2.5        1.5       1.5

함박봉-소릉고개-고내곡재-성삼재-누황재

  1.4          1.1          2.1        2         1.1

18.9

  3

누황재-천호산-741도로-호남고속도로- 쑥고개-1번국도-용화산-다듬재-

   0         1.4       2.5              2                 2          2           2        2.5

미륵산-옥수도예-석불사거리

  1.7          3             1.6      

20.7

  4

석불사거리-삼기교회-23도로-호남선-용산삼거리-함라초교(711도로)-봉화산-

0             2.4          4         0.7         1.5               3                        1.9

칠목재(72)-임도-수례재

    3.4              2       2.4

21.3

  5

수례재-망해산-취성산-부곡재-마산재-대명산-다리실육교-

    0        2.8        1.7      1.5       1.4       2.7         1.8

임도-군산남고-칠거리고개

3      3.3             4.1

17.1

  6

칠거리고개-청암산-칠다리슈퍼-21도로-부곡사거리-동아A-점방산

    0               3.3          2.3           3            3.8       1.2   3.6

17.2

 

 

117.8k

 

<< 귀연산악회 >>

대동금남정맥길 공지사항..|산 행 안 내
한림정 | 조회 231 |추천 0 |2013.12.30. 12:41 http://cafe.daum.net/gyclub/8KDW/1324 

 

    대동금남정맥 구간별 산행일지

                                                                                                                                                                   

※구간거리는 가민 60CSx GPS로 측정한 실제거리이며, 보통정도의 산행속도 시간임.

 

     

    구 분               

소구간 산행일자 구간별 산행코스 구간거리
(km)
접속/이탈
거리(km)
총거리
(km)
산행시간 비고
대동금남정맥 1, 2   금남정맥 1, 2구간과 중복
(주화산에서 금만봉까지는 금남정맥과 동일함)
         
3 구수리 주차장-장군봉-금만봉(대동금남 분기점)-왕사봉-645봉-은천리갈림길-은천리 주차장 4.4 10.1 14.5 8h 10m 접속 7.0km
이탈 3.1km
4 은천리-은천리갈림길-칠백이고지-604봉-선녀남봉-용계재-불명산-시루봉-장선리재-미륵산-말골재 12.5 3.4 15.9 7h 40m 접속 3.4km
5 말골재-장재봉-남당산-작봉산-까치봉-말목재-옥녀봉-함박봉-소룡고개-성태봉-고내곡재-금평마을 19.6 0.9 20.5 8h 15m 이탈 0.9km,
장재봉왕복 1.0km
6 금평마을-고내곡재-누황재-천호산-문드러미재-쑥고개-용화고개-용화산-다듬재-미륵산-석불사거리 21.3 0.8 22.1 8h 00m 접속 0.8km
7 석불사거리-상마사거리-함라우체국-함라산-봉화산-칠목재-수례재 21.7   21.7 6h 05m 함라산 왕복
1.4km 포함
8 수례재-망해산-취성산-용천산-미산재-대명산-망경산-고봉산-통사동고개-칠거리고개 21.5   21.5 7h 15m  
9 칠거리고개-청암산-칠다리-21번국도-부곡사거리-석치산-점방산-장계산-군산 군장대교 20.5   20.5 6h 40m  
    거리 합계 121.5 15.2 136.7    

 

 

 

 

 

대동금남정맥(大東錦南正脈) 개요      -- 청솔산악회 --

 

 신산경표가 가리키는 금남정맥은 진안 주화산을 출발해 운장산, 대둔산, 계룡산을 지나 부여의 부소산 넘어 백마강 구드레나루에서 그 맥을 다하는 산줄기다. 이는 "정맥은 강의 울타리"는 물가름의 원칙으로 볼 때 오류라고 진즉부터 지적돼 왔다. 현재 많은 정맥꾼들은 신산경표를 따라 금남정맥종주에 나서고 있는데, 물가름의 원리에 충실하자면 금남정맥은 부여가 아니라 군산으로 이어가는 대동여지도가 유력해 보인다. 산경표에 의한 금남줄기가 그 흐름이나

세로 볼 때 훨씬 당당하고 멋지기 때문이다. 대동금남정맥은 대동여지도에 의한 금남정맥으로 그 와는 다른 감각을 보여준다. 산세는 낮아도 금강과 만경강을 끝까지 뚜렷하게 가르며 이어지는 산줄기로 실질적인 금남정맥은 대동여지도를 따라도 별 이견이 없다 할 정도이다.

그러나 이미 많은 산꾼들이 신산경표에 의한 금남정맥을 완주하였고, 현 금남정맥이 '정맥의 꽃'이라 불릴 만큼 멋진 산군들을 포함하고 있기에 이를 부정하거나 새삼 논란의 대상이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따라서 대동여지도의 금남정맥은 대동금남정맥의 이름으로 독립성을 갖고 이를 따로

종주함으로써 사실상 두 금남정맥을 완성한다는 의미를 가지면 되겠다. 두 금남정맥이란 말이 좀 그렇다 하여 '금남기맥'이라 이름을 붙여 종주하기도 하는데,

그 이름이 뭐가 되는가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되며, 다만 대동여지도의 산줄기를 따른다는 것에 그 의미를 부여, 종주에 임하고자 한다.

 

 대동금남정맥(大東錦南正脈)은 옛 백제의 숨결이 오롯이 남은 전주, 익산 땅을 크게 휘어 감으며 지나는 산줄기로, 군산의 점방산까지 120km가 넘는 산줄기를 말한다. 시작은 신산경표의 금남정맥과 같이 오다가 장군봉을 지나 전북 완주군 동상면과 운주면, 진안군 주천면의 경계에 있는 750(일명 금만봉)에서 금남정맥과 갈라진다. 금만봉(750m)에서 신산경표의 금남정맥을 대둔산으로 떠나 보낸 대동금남은 이후 왕사봉(718.3m), 칠백이고지(700.8m),

불명산(480m), 작봉산(419.6m), 성태봉(371.3m), 천호산(501m)을 지나 용화산(342m), 미륵산(429.6m)에 이르기까지 산 다운 형국을 보이다가

미륵산을 내려선 후로는 온전히 낮아져 바다에 합류하기 전 유유히 흐르는 금강과 만경강의 눈높이를 맞춘다. 미륵산 이후의 최고봉이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과 함라면의 경계에 솟은 236m의 봉화산일 만큼 비산비야의 산세를 보여준다. 이 땅 모든 산줄기가 처한 위기를 대동여지도의 금남정맥도 피해가지 못한 듯 크고 작은 도로로 인해 수십 군데의 산줄기가 끊어지고, 너른 평야지대에 설치된 인공수로들은 정맥 마루금을 넘나들며 이어진다.

그리고 정맥길이 아예 도로인 곳도 여러 군데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게 신음하면서도 아직 우리땅의 뼈대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는 대동금남은 미륵산과 봉화산 사이 삼기면, 함열읍, 황등면, 함라면 일대의 허허벌판을 지나면서 절묘하게 물길을 가르며 이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1구간:3월13일(목):진동마을-금만봉-불명산-장선리재(접속거리4km) 17km

2구간:4월21일(월):장선리-남당산-작봉산-말목재(접속거리1.5km)    14.8km

3구간:5월15일(목):말목재-옥녀봉-함박산-천호산-쑥고개               18.5km

4구간:6월26일(목):쑥고개-용화산-미륵산-상미사거리                   18km

5구간:7월23일(수):상미사거리-봉화산-칠목재                             13km

6구간:8월28일(목):칠목재-망해산-취성산-미산재                         11.9km

7구간:9월24일(수):미산재-대명산-칠다리슈퍼                             18km

8구간:10월30일(목):칠다리슈퍼-석치산-점방산-군산항도선장          10.6km

 

<>